폰사진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을 찾아

정병식 2015. 7. 16. 14:48

남한산성은  조선의 호국승군들에 의하여  축성된  호국정신의 상징적인 곳이다.    

                비교적   남한산성을  자주  찾는 편이지만   옛날에는   등산으로  왔었고

                최근에는  친구들과 어울려서  밥을  먹거나   드라이브 정도로만   다녀갔을뿐

                만해기념관을  찾아 볼  생각은  하지도  않았다.

                왜 그렇게  건성으로만  다녀갔는지   모르겠다.

               

ㄱ만해1.JPG

                 마침  친구들과  남한산성  올라가는  길에  있는   보리촌이란  곳에서

                 점심을  먹었길래   이날도  남한산성  드라이브나  해보자고  올라갔다가

                 운좋게도  임시개방중인   행궁구경을  하게 되었고,  행궁에서  멸지 않은곳에

                 있는  만해기념관까지  찾게 되었다.

 

 

ㄱ만해2.JPG

                성남쪽에서  남문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아직은  봄 기운은  느껴지지  않는다.

 

 

ㄱ만해3.JPG

 

 

 

ㄱ만해4.JPG

 

 

 

ㄱ만해5.JPG

                 남문 주차장에서  만해기념관  올라가는  골목길이다.  아직도  잔설이 남아있고

                 골목길은  조용하다.

 

 

ㄱ만해6.JPG

 

 

 

ㄱ만해안내판.JPG

              만해  한용운 (1879-1944) 은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나 27세에  설악산  백담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불교계의 개혁과  대중화를  위해  조선불교유신론과  불교대전을  차례로  저술하였으며

              불교잡지  유심을  창간하여 언론 활동을 통한  불교 대중화에도  앞장섰다.

 

              만해는  민족대표33인으로  3,1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옥중에서 쓴  조선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  에서는  인간의 기본 정신인  자유, 평등, 평화사상에  입각한  독립은

              민족의 자존심이라며  끝까지  변절하지 않은  민족적  지도자로  평가 받는다.

              일본의 압박과 회유를 끝까지 거부하고  일관되게 독립운동을  하였으며

              55세 때 부터  조선총독부가 마주 보기 싫어  북향으로  지은  심우장에서  해방

            1년전인  1944년  영양실조로  생을  마감하였다.  (만해기념관 안내문에서 발췌)

 

 

ㄱ만해8.JPG

                 만해기념관  입구다.  찾는 사람이  많지 않아  호젓하다.   입장료 2,000원을

                 내고  안으로  들어 갔다.

 

 

ㄱ만해9.JPG

 

 

 

ㄱ만해10.JPG

 

 

ㄱ만해11.JPG

                 기념관  안으로  들어서자마자   만해의  시  군말  과  님의침묵 이  걸려있다.

 

 

ㄱ만해12.JPG

 

 

 

ㄱ만해13.JPG

                전시품이 그리 많지는  않았지만  사진을  찍을수  없다고 해서  입구에서

                몇장만   승락을  얻고  찍었다.

 

 

ㄱ만해14.JPG

 

 

 

ㄱ만해15.JPG

 

 

 

ㄱ만해16.JPG

 

 

 

ㄱ만해17.JPG

 

 

 

ㄱ만해18.JPG

                만해기념관 계단에서 내려다 본  마을 풍경이다.  음식점들이  이곳까지

                들어서  있었지만   골목에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

 

 

ㄱ만해19.JPG

                   만해기념관의  뜰

 

 

ㄱ만해20.JPG

 

                 만해 한용운은  육신의 고향인 홍성 생가,  정신의 고향인 내설악 백담사

                 삶의 현장인 서울 성북동  심우장등이  인연 깊은 곳들이다.

                 이곳  남한산성  만해기념관은  1981년  성북동  심우장에서 시작되어

                 1991년  남한산성으로  이전하였으며  만해정신의 중심도량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가 사용하였던  책과  저술, 독립운동 관련자료와  일화, 님의침묵

                 초간본을  비롯한 160여종의 판본과  귀한  자료들이  만해를  찾는   모든

                 사람들의  발길을  기다리고  있다.

 

                 지하철 8호선 산성역 2번 출구로  나오면  9번 52번 의  버스가  있다

                 이 버스를  타고  산성종점에서  내려서  남문주차장  옆길로 들어오면 된다.

                 남한산성엘  가면  만해기념관도  꼭  들려보시길~~